임플란트는 잘만 심고 잘만 관리하면 10년, 20년 이상 쓸 수 있을 만큼 내구성이 뛰어난 치료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임플란트를 몇 년 못 쓰고 다시 문제 생겨서 재수술하거나 보철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꽤 많아요.

이러한 문제에 대해 단순히 “운이 없었다”거나 “치료가 잘못됐나 보다”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임플란트 수명이 짧아지는 데는 뚜렷한 원인들이 있고, 그걸 알고 조심하지 않으면 누구에게나 동일한 문제가 반복될 수 있는 거예요. 특히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이긴 하지만, 주변 뼈와 잇몸에 묻혀 있기 때문에, 치아 하나를 심는 게 아니라 그 주변 환경까지 포함해서 관리해야 오래 쓸 수 있어요.

 

 

 

임플란트는 영구적인 인공 치아라고 알고 계신 분들도 많지만 사실은 아무리 잘 만들어진 임플란트라도 평생 알아서 유지된다고 보기는 어렵고 심는 재료 자체는 반영구적일 수 있어도 임플란트를 둘러싸고 있는 잇몸, 뼈, 보철물, 나사, 접합 부위 등은 사용하면서 서서히 마모되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결국엔 ‘수명’이라는 개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요

 

특히 10년 이상 사용한 임플란트는 주변의 뼈가 조금씩 흡수되거나, 보철물이 손상되거나, 나사가 풀리거나 잇몸이 내려앉는 등의 문제로 점점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때 중요한 건 임플란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단순히 제거하는 걸로 끝내는 게 아니라, 임플란트 수명 다하면 재수술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그 이후의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

 

 

 

 

 

임플란트 수명 다하면  재수술을 잘 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은 지지 뼈의 상태, 즉 치조골의 보존 상태로 처음 임플란트를 심을 땐 충분한 골량과 밀도를 기준으로 식립 위치를 정했지만 시간이 지나고 문제가 생긴 임플란트를 제거하게 되면, 그 주변의 뼈는 이미 염증이나 미세한 손상으로 일부 흡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. 

 

특히 임플란트 주위염이 있었던 경우, 뼈가 움푹 꺼진 형태로 녹아 있기 때문에 같은 자리에 다시 임플란트를 심기 어려울 수 있고 이런 상태에서는 무작정 다시 식립하기보다는 먼저 뼈이식을 통해 충분한 치조골을 확보한 후 재수술을 진행해야 안전하고 오래가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거예요.

 

 

 

이 뼈이식이라는 건 단순히 뼈를 조금 채워 넣는 게 아니라, 임플란트가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밀도와 부피를 회복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, 치료 기간도 어느 정도 길게 잡아야 하고 정밀한 CT 분석을 통해 뼈흡수의 범위와 깊이, 신경 위치, 상악동 등 해부학적 구조까지 모두 확인한 후 진행돼야 해요.

 

특히 상악 특정 부위에 상악동이 가까운 경우에는 상악동 거상술까지 병행해야 하는 경우도 많고 하악에서는 신경관과의 거리 확보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보다 복잡한 수술이 될 수 있어요. 그래서 임플란트 수명 다하면 임플란트 재수술을 다시 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보다 남아 있는 뼈의 양과 질이 어떠냐, 그리고 그걸 회복시킬 수 있는 치료를 얼마나 정확하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성공 가능성이 달라지는 거예요.

 

 

 

 

재수술을 계획할 땐 반드시 처음 실패한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고, 그 원인이 반복되지 않도록 설계부터 달라져야 해요. 단순히 임플란트를 다시 심는다고 해서 결과가 달라지는 게 아니라, 왜 실패했는지를 알고, 그 실패를 반복하지 않게 설계하는 것, 그것이 바로 재수술 성공의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

 

결국 임플란트 수명 다하면 그리고 임플란트를 다시 심어야 한다면, 그건 단순한 ‘재수술’이 아니라 이전보다 더 정밀한 분석과 더 철저한 조건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치료 과정이라고 봐야 하고 그 과정에서 얼마나 정밀한 진단과 맞춤 설계를 통해 준비하느냐가 두 번째 임플란트의 성공율 및 안정성이 결정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첫 치료보다 더 까다롭게 접근해야 하며 경험 많은 치과의사와 잘 상의하시고 오래 믿고 찾을 치과를 잘 판단하시길 바라고 있어요

 

 

+ Recent posts